-
GITHUB 시작하기1개발/GIT 2018. 1. 7. 21:56
GitHub URL : https://github.com/devgaram
목표) 첫 커밋 해보기.
- 깃헙으로 들어가 MyProject라는 repositories[저장소]를 생성.
- 윈도우 탐색기에서 Git bash 찾아서 실행.
1. 깃과 소통하기 위해 나를 알려야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devgaram"
$git config --global user.email "joingaram@naver.com"
2. 로컬 컴퓨터에 폴더를 생성해보자.
$pwd
$mkdir ~/MyProject
내 위치를 확인하고 폴더를 생성했다.
3. 해당 폴더를 깃 저장소로 초기화하자.[로컬 깃 저장소로 만들자]
$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C:/Users/USER/MyProject/.git
4. 파일을 만들어보자.
$touch Readme.txt
5. 현재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해보자.
$git status
6. Readme.txt 라는 파일을 깃이 추적할 수 있게 하자.
$git add Readme.txt
7. 해당 파일의 변경에 대한 커밋을 생성하자.
$git commit -m "ADD Readme.txt"
8.
이제 깃헙 저장소에 해당 커밋내용을 push하고 싶다. 그 전에, 로컬저장소와 github 저장소를 연결하자.
$git remote -v
현재 프로젝트에 등록된 리모트 저장소를 확인하고 싶다. -v옵션 : url도 보고싶다.
orgin : 깃 리모트 이름
url : 위치
그런데,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remote repository를 찾지 못하는 듯 하다..
$git remote add pm https://github.com/devgaram/Myproject.git
위와 같이 리모트저장소를 추가할 수 있다.
** $git pull을 통해 리모트 저장소와 로컬저장소를 동기화 시킨 후에 $git push를 하면 잘된다고 하는데 나중에 한번 시도해봐야지.
$git push origin
리모트 저장소 이름과 함께 push를 시도해봤지만, 여전히 실패.
그러나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를 실행하라는 문구가 나옴.
역시 경고가 뜬다.
현재 ip에 권한이 없어서 접근이 거부되는 거 같다.
그래서,
$ssh-keygen -R 192.30.255.133
으로 해당 호스트IP 추가.
기존에 192.30.255.133 IP로 접속한 적이 있는 서버와 RSA 공유키를 교환한 상태에서 192.30.255.133 서버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잘 이해가 안되니 다음 찾아서 정리해놓기! ****
어쨋든 위와 같이 실행하고 다시 push를 하면
리모트 저장소에도 Readme.txt가 생긴다~!
** 포스팅 보완 필수 **
'개발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병합(merge) 시 충돌(conflick)날 때 해결방법(TortoiseGit) (0) 2018.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