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경제금융용어 90선 - 기준금리, 기축통화, 기회비용일상/경제 2022. 10. 11. 09:47
기준금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를 말한다.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에 환매조건부채권매매(RP)와 대기성 여수신 등의 자금거래를 할 때 기준으로 적용된다. 2008년 3월부터 한국은행은 정책금리의 실체를 종전의 ‘익일물 콜금리 목표’에서 ‘기준금리(base rate)’로 변경하였다. 콜금리는 대표적인 시장금리 중 하나로 초단기 금융시장의 자금상황을 반영하는 금리이다. 그러나 1999년 콜금리목표제를 도입한 이후 콜금리가 자금수급사정에 관계없이 목표수준에서 고정되면서 콜금리의 시장신호 전달 및 자금배분 기능이 약화되었고, 단기자금거래가 콜시장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금융기관 간 RP 등 기일물 단기자금시장의 발달이 저해되는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한국은행이 정책금리의 실체를 ‘기준금리’로 변경..
-
경제금융용어 90선 - 금본위제, 금산분리, 기업공개일상/경제 2022. 10. 10. 14:01
금본위제 금본위제란 각국의 통화가치를 순금의 일정한 중량으로 정해 놓고 금화의 자유로운 주조와 수출입을 허용하며 이를 지폐나 예금통화 등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금본위제하에서 각국 통화는 금의 중량을 기준으로 그 가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통화 간 교환비율은 금을 통하여 고정되며 따라서 금본위제는 전형적인 고정환율제도이다. 1800년대 영국의 금본위제 도입을 시작으로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금본위제를 채택하였다. 금본위제는 금의 국제수지 및 국내물가 자동 조절기능을 통해 국제금융 및 세계경제의 발전에 공헌하였으나 1차 세계대전 이후 주요국들이 과다한 전비지출로 말미암은 인플레이션과 정치적 불안 등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제..
-
경제금융용어 90선 - 공매도, 국가신용등급, 국채일상/경제 2022. 10. 6. 10:57
공매도 공매도(short selling)란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로 쓰이는데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란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주식을 빌려 먼저 매도한 후, 주가가 하락하면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하여 되갚은 후 차익을 얻는 투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A주식을 빌려 주당 15,000원에 팔고 며칠후 그 주식이 12,000원으로 하락하였다면 12,000원에 주식을 매입하여 빌린 A주식을 되갚으면 주당 3,000원의 수익을 얻는다.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는 수익을 얻지만, 예상과 달리 주가가 상승할 경우에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공매도 투자는 매우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특히 공매도는 주식시장이 약세장이 되었을 때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전체 거래..
-
경제금융용어 90선 - 골디락스경제, 공공재, 공급 탄력성일상/경제 2022. 10. 5. 08:55
골디락스경제 골디락스경제(Goldilocks economy)는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에 있는 건실한 경제를 가리킨다. 이는 영국의 전래동화인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Goldilocks and the three bears)에 등장하는 금발머리 소녀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동화에 따르면 엄마 곰이 끓인 뜨거운 수프를 큰 접시와 중간 접시 그리고 작은 접시에 담은 후 가족이 이를 식히기 위해 산책을 나갔는데, 이 때 집에 들어온 골디락스가 아기 곰 접시에 담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먹고 기뻐하는 상태를 경제에 비유한 것이라 한다. 즉 경기과열이나 불황으로 인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나 실업률을 경험하지 않는 양호..
-
경제금융용어 90선 - 고용률, 고정금리, CD금리, 고통지수일상/경제 2022. 10. 4. 09:04
고용률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즉,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근로자 및 일시휴직..
-
경제금융용어 90선 -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경기종합지수, 경상수지일상/경제 2022. 10. 3. 14:36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 경상수지,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 골디락스경제, 공공재, 공급 탄력성, 공매도, 국가신용등급, 국채, 금본위제, 금산분리, 기업공개, 기준금리, 기축통화, 기회비용, 낙수효과, 단기금융시장, 대외의존도, 대체재, 더블딥, 디커플링, 디플레이션, 레버리지 효과, 만기수익률, 마이크로 크레디트, 매몰비용, 명목금리, 무디스, 물가지수, 뮤추얼펀드, 뱅크런, 베블런 효과, 변동금리, 보호무역주의, 본원통화, 부가가치, 부채담보부증권(CDO), 부채비율, 분수효과, 빅맥지수, 상장지수펀드(ETF), 서킷브레이커, 선물거래, 소득주도 성장, 수요 탄력성, 스왑, 스톡옵션, 시뇨리지, 신용경색, 신주인수권부사채(BM), 실질임금, 애그플레이션, 양도성 예금증서, 양적완화 정책, 어음..
-
클린코드 리뷰개발/개발서적 2022. 5. 22. 22:31
ch 06. 객체와 자료 구조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private variable를 사용하는 이유 A 클래스의 public member 변수 m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변수 m은 public이므로 B 클래스에서 접근할 수 있다. B 클래스에서 변수 m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A 클래스의 변수 m의 타입이나 이름 등을 변경하면 어떻게 될까? 우리는 B 클래스 내에서 변수 m을 사용하고 있는 부분을 수정해야한다. 또한, 변수 m을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다른 클래스들도 찾아봐야 한다. 만약 member 변수 m이 private 변수라면 어떨까? 변경의 여파를 신경쓸 필요 없이 변수 m의 타입과 이름을 맘대로 바꿀 수 있다. 만약 버그가 생긴다고 해도 우리는 A 클래스의 구현 위주로 살펴보면 된다. 그렇다..
-
SOLID 원칙 - LSP, ISP, DIP개발/개발서적 2021. 10. 21. 00:24
클린 아키텍쳐 3부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치환 원칙과 하위타입 S 타입의 객체 o1에 대응하는 T 타입의 객체 o2가 있다. T 타입을 이용한 프로그램 P에서 o2의 자리에 o1을 치환하더라도 P의 행위가 변하지 않는다면, S는 T의 하위타입이다. LSP를 준수하는 설계(상속) Billing Application ---> License - caleFee() Rectangle - setH(), setW() Framework F ---> Database D, 프레임워크가 반드시 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야된다면 S는 F를 의존하고 F는 D를 의존한다. S와는 전혀 관계 없는 기능이 D에 포함되어있다고 가정해보면, 그 기능이 변경되면 D가 바뀌어 F를 심지어는 S를 재배포해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D..